본문 바로가기
Programming/Java

[F-Lab 모각코 챌린지 6일차] : TIL

by 구튼탁 2023. 6. 8.
728x90
  • 조건문은 조건의 결과에 따라서 코드를 수행하게 만들 때 사용하는 문법이다.
  • if 문장의 소괄호 안의 결과는 boolean 이어야 한다.
  • if 소괄호 조건에 맞지 않는 모든 경우를 처리할 때 else 예약어 뒤에 { } 중괄호를 선언하고 그 안에 실행할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.
  • if 조건은 여러개 나열할 수 있는데 else if (조건문) { } 형태로 추가하면 된다.
  • if, else if, else 예약어 , (조건문) 뒤에 { } 중괄호가 없어도 되는 경우가 있다. 컴파일러는 조건문 뒤에 세미콜론 하나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기 때문에 한 줄의 코드는 중괄호 없이 사용해도 된다.
    if (조건문)
     	doSomethingA("A");
    	doSomethingB("b"); // if 조건이 충족되면 처리문장의 범위를 첫줄 이후까지로 착각하고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..
  • 그러나 이 경우 버그에 취약한 코드를 만들게 된다. 그래서 반드시 중괄호 안에 처리문장을 위치시킬 것을 추천한다.
  • if-else 조건문에는 논리연산자르 사용해 여러개 조건을 나열 가능하다. 다만 코드 가독성을 신경써 작성해야한다.
  • switch 문. if-else 조건문은 단순한 true, false 조건만을 처리 가능하다. switch 는 하나의 값이 여러 범위에 걸쳐서 비교 되어야 할 때는 switch 구문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
  • if-else 에서 소괄호 안의 조건문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부분은 case 뒤 선언하는 값이다.
    switch 뒤 소괄호에서 받는 매개변수의 값이 case 뒤의 값과 일치할 경우에 : 다음 라인의 코드부터 실행이 되고 break; 라인에서 종료된다.
    break; 라인 에서 종료된다고 switch { } 전체가 종료되는 것이 아니다.
    다음 case 값을 만족하면 또 처리문장을 수행한다.
    그래서 break; 를 적재적소에 잘 써줘야 한다.
  • 앞서 switch 문은 하나의 값이 여러 범위에 걸쳐서 비교 되어야 할 때 사용하면 좋다고 했다.
switch(value){
    case 1:
        doA();
        break;
    case 2:
        doB();
        break;
    default:
        doC();
}
switch(day){
    case MONDAY: case TUSEDAY:
        doA();
    case FRIDAY: case SATURDAY: case  MONDAY:
        doB();
    default:
        doC();
}
  • switch 문은 long을 제외한 정수와 Enum, Character, Byte, Short, Integer 타입만 사용할 수 있다.
    java 7 부터는 String 이 추가되었다.
728x90

댓글